지난 2018년 꿈에 그리던 웹툰 작가로 데뷔한 하이(필명) 씨. <br /> <br />좋아하는 일을 하며 돈을 벌 수 있다는 기쁨도 잠시, 최근에는 이직을 고민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웹툰을 게재하는 플랫폼 업체와 출판사에서 이중으로 떼이는 수수료 탓에 남는 수익이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하이(필명) / 웹툰 작가 : 플랫폼에서 40~45% 정도를 떼요. 남은 금액에서 작가와 에이전시(출판사)가 나누게 되는데, 지금 수익은 (매달) 20만 원이 안 되는 수준이죠.] <br /> <br />최근 웹툰과 웹 소설의 인기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지만, 정작 대다수 작가는 이를 체감하기 어려운 현실입니다. <br /> <br />현재 디지털 콘텐츠 시장은 카카오나 네이버와 같은 거대 플랫폼 기업이 주도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카카오페이지의 경우 출판사인 에이전시를 통해 작가들과 계약을 맺는 경우가 대부분인데, 작가들은 플랫폼에 한 번, 에이전시에 또 한 번 수수료를 떼인다고 호소합니다. <br /> <br />정산 구조가 불투명한 것도 문제입니다. <br /> <br />작품이 실제로 얼마나 판매됐는지 작가가 확인할 길이 없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홍선혜 / 웹 소설 작가 : (정산서에) 판매 권수가 적혀있다고 해도 근거를 알 수가 없으니까, 보이는 것만 믿을 수밖에 없는 거예요. 100권이라고 하면 100권인가 보다….] <br /> <br />이에 대해 네이버나 카카오 측은 관련 문제를 인식하고 있다며, 정산 시스템을 개선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[카카오 관계자 : (에이전시에는) 저희가 상세하게 정산을 공지하고 있는데, 작가들도 본인 작품이 어떻게 얼마나 팔렸는지 상세 내용을 알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에요.] <br /> <br />하지만 강제성이 없는 만큼, 정부가 직접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큽니다. <br /> <br />[이수경 / 전국여성노동조합 디지털콘텐츠창작노동자지회장 : 과도한 플랫폼 수수료를 제재하고, 정산서 공개를 의무화하는 등 작가들이 지속 가능한 창작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정부와 국회가 하루빨리 사회적 안전망을 마련해주기를 촉구한다.] <br /> <br />또 업체마다 제각각인 정산 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해 어떤 회사와 계약을 맺든 수익 구조가 투명하게 공개되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황보혜경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11022140619055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